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정치부 이동은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번째 주제 보여주시죠. '말이 바뀐 이유'네요. 누가 말을 바꿨습니까? <br><br>바로 더불어민주당입니다. <br><br>Q. 민주당은 내년 보궐선거에 후보를 낼지 말지 물어보는 전당원 투표를 실시했잖아요. 그 결과를 오늘 발표했는데 갑자기 전당원투표가 아니라고 하고 있는 거죠? <br><br>네, 앞서 리포트에도 나왔지만 투표율 26%가 발단이 됐습니다. <br><br><br><br>민주당 당규를 보면 "전당원투표는 1/3 이상 투표와 과반수 찬성으로 확정한다"고 돼 있는데요.<br> <br>투표율이 유효투표율에 못 미치자 갑자기 당규상 전당원투표가 아니라 일종의 '전당원 여론조사'였다고 말을 바꾼겁니다. <br><br>Q. 민주당 지도부는 오늘 아침까지도 전당원투표라는 단어를 사용했잖아요. <br><br>그렇죠. 기자들의 문제 제기 전까지 전당원투표라는 단어를 썼습니다. <br><br>[이낙연 / 더불어민주당 대표] <br>보궐선거 추천을 위한 당헌개정을 놓고 전당원투표를 실시했습니다. <br> <br>[최인호 /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] <br>전당원투표에서 보여준 뜻을 소중히 여기며 <br><br>Q. 왜 처음부터 '전당원 여론조사'라고 쓰지 않은 걸까요? <br><br>바로 명분 없는 공천 때문입니다. <br> <br>민주당은 5년 전 소속 지자체장의 잘못으로 재보궐 선거를 치르게 될 경우 후보를 내지 않겠다고 당헌에 규정했는데요. <br> <br>그래 놓고선 스스로 약속을 파기하게 되니 명분으로 내세운 게 바로 '당원의 뜻'입니다. <br> <br>전당원투표를 통해 당원들의 뜻을 물었더니 공천에 압도적으로 찬성해서 바꾼 거다, 이런 모습을 연출해 보이고 싶었던 겁니다. <br><br><br><br>Q. 공천을 안 하겠다고 하겠다고 하고, 전당원 투표라고 했다가 아니라고 하고 말을 자주 바꾸네요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'공동 1위 그리고…'. 오늘 차기 대선 주자 여론조사가 발표됐는데 흥미로운 대목이 많아요. <br><br>그렇습니다. <br><br>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1.5%로 공동 1위를 차지했고요. <br> <br>이어 윤석열 검찰총장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, 홍준표 의원 등 순이었습니다.<br><br>Q. 치열한 1위 싸움을 하고 있는데, 두 사람한테 모두 중요한 변수가 곧 생기죠? <br><br>네, 이번주 금요일 댓글 조작 혐의를 받는 김경수 경남지사의 2심 선고가 있습니다. <br> <br>1심에서는 실형을 선고 받았는데 2심에서 만약 무죄가 나온다면 김 지사가 차기 대선주자로 부상할 수 있습니다. <br><br>Q. 아무래도 두 후보 모두 친문 직계 후보는 아니니까요. 원조 친문인 김경수 지사에게 주목하는 거겠죠. <br><br>그렇습니다. <br><br><br><br>한 민주당 의원은 "김 지사의 판결이 나오기 전까지 여당 대선 지지율은 아무 의미가 없다"고 말했습니다.<br><br>Q. 제목에서 봤던 '그리고' 윤석열 검찰총장 이야기도 해보죠. <br><br><br><br>네, 공동 1위를 추격하며 3위를 차지했는데요. 지난달과 비교하면 6.7%포인트 뛰었습니다.<br> <br>지난달 국정감사를 본 야권 지지층이 윤 총장에게 결집한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><br><br><br>눈여결 볼 건 중도층 민심인데요. <br> <br>윤석열, 이낙연, 이재명 세 사람 모두 20%대 지지를 받았습니다.<br><br>Q. 방금 리포트에서 국민의힘의 전략은 확장이라고 봤는데, 중도에서 윤 총장이 인기가 있는 건 의미가 없진 않겠네요. <br> <br>네, 제1야당인 국민의힘이 제대로 된 대선 후보를 내세우지 못하니 현직 검찰총장이 대안으로 떠오른 건데요. <br> <br>이 지사는 "검찰개혁이 얼마나 중요한지, 왜 공수처가 필요한지를 상기시킨다"고 평가했습니다. <br><br><br><br>오늘의 여랑야랑은 '어쩌다가'로 정해봤습니다. <br><br>Q. 대통령이 임명한 검찰총장이 야권후보 1위인 상황이 참 아이러니합니다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